주부 습진이란?
주부 습진은 주부들이 많이 사용하는 물, 세제, 비누 등에 장기적으로 손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자극성 접촉 피부염입니다. 주부 습진은 결혼 후 아이를 낳은 어머니들에게도 자주 발생하고, 그 밖에도 손을 자주 사용하는 외과의사나 치과의사 등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부 습진의 현상
주부 습진의 현상으로는 일반적으로 손이 건조하고, 피부가 갈라지고, 딱딱해지고, 가려우며, 손을 씻고 나면 따갑고 화끈거리는 느낌이 든다.
심한 경우에는 손이 부어오르거나, 물집, 진물 등이 손등까지 번지게 됩니다.
주부 습진의 원인
주부 습진의 주원인은 물이나 세제, 비누를 자주 사용하며 손에 접촉하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계면활성제는 피부 장벽을 구성하고 있는 유용한 지질 성분을 제거하게 되며, 계면활성제의 성분들이 손에 피부염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세제를 맨손으로 사용하면 주부 습진이 더욱 악화됩니다. 그 밖에도 과일이나 채소, 날고기 등을 맨손으로 만지는 것도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알레르기 접촉 피부염이 있는 경우에는 금속이나 고무제품 등의 접촉이 원인이 됩니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의 병력이 있는 경우에도 주부 습진이 잘 일어납니다. 온도가 너무 낮거나, 건조한 경우, 자극 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이 되는 경우
등에도 주부 습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주부 습진의 치료법
가벼운 주부 습진은 보습제만 발라도 해결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제 연고를 발라서 치료해야 합니다.
그리고 주부 습진의 가려움 증상을 달래기 위해 냉찜질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이스팩이나 얼음이 담긴 지퍼백으로 수건으로 감싸 증상이 나타나는 부위에 올려두면 가려움증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로 주부 습진의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습진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병원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치료를 받는 것이 우선입니다.
주부 습진 예방 방법
가능하면 손에 물을 닿는 횟수를 줄여야 합니다. 또한 비누로 손을 닦을 때는 거품이 피부에 남지 않도록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그 후에 닦은 손은 핸드크림을 발라 피부 건조를 막아야 합니다.
그 밖에도 고무장갑을 낄 때는 안에 면장갑을 착용하고 사용한다. 안에 면장갑을 착용했더라도 손이 더워지거나 땀이 나면 세제만큼이나 피부를 자극하게 돼서 좋지 않다. 그렇기에 한 번에 30분 이상 고무장갑을 끼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주부 습진을 오래 방치한다면 더 넓게 번지고 만성화가 될 수 있기에 빠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주부 습진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완치 후 다시 원인 물질과 계속해서 노출이 되면 재발 가능성이 큽니다. 그렇기에 완치가 되더라도 재발하지 않도록 스스로의 관리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