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 식도염이란?
역류성 식도염은 위 안에 내용물이 소량씩 식도로 지속적인 역류를 하게 되면서 식도에 있는 점막이 손상되어 염증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와 식도 사이에서 위의 내용물이 역류하는 것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하는 괄약근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는 위염이나 위산과다분비 등의 증상과 식도의 비슷한 통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병원에서 내시경을 촬영해야 정확한 증상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으로는 위 내용물이 증가하면 십이지장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식도로 역류하게 됩니다. 특히 눕거나 구부러진 자세로 인해서 위 내용물이 식도와 가까워지면 잘 일어납니다.
그리고 비만, 임신 등으로 인해서 위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고, 잦은 기침 등으로 복압이 증가하면 역류성 식도염이 발생합니다.
또한 위와 식도 사이에 위치한 괄약근의 압력이 줄어드는 것도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입니다. 참고로 괄약근의 압력은 주로 기름진 음식이나 음주, 흡연에 의해 감소하며
커피, 초콜릿, 박하 등의 음식도 악영향을 끼칩니다.
위와 같은 원인들로 위 내용물에 포함되어 있는 위산, 음식물, 소화 효소 등이 식도를 자극하여 식도 점막에 손상을 일으킵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
역류성 식도염의 전형적인 증상은 가슴 쓰림과 위산 역류 증상이 있습니다. 가슴 쓰림은 명치끝에서부터 목구멍까지 치밀어 오르는 것처럼 뒤쪽 가슴이 타는 느낌이 드는 듯한 증상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환자는 가슴이 쓰리거나, 화끈거리고, 따가운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위산 역류는 위액이나 위 내용물이 식도와 후두 사이로 역류하는 현상입니다. 특히 많은 음식물을 섭취한 후거나, 누운 자세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이는 가슴이 쥐어짜이는 듯한 느낌이 드는 협심증으로 오인할 정도로 심한 고통을 호소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법
역류성 식도염의 기본적인 치료법은 생활 습관을 바꾸는 것입니다. 특히 과식을 피하고, 야식을 피해야 합니다. 그리고 식사 후 바로 눕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식도 사이에 위치한 괄약근의 압력을 낮추는 기름진 음식, 술, 담배, 커피, 초콜릿, 박하 등을 피해야 합니다. 그리고 식도 점막을 직접 자극하게 되는 탄산음료, 토마토 등을 피해야 합니다. 또한 비만인 경우에는 체중을 감소시켜야 하며, 복압을 증가시키는 몸에 끼는 옷을 입지 않고, 일상생활 중에 몸을 숙이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